절의 건축물
전통사찰은 만다라 형상을 나타내며 극락세계를 표현한 장소로서 독특한 건물구조로 되어있다. ‘만다라(曼茶羅)’는 어느것도 부족한 것이 없이 모두 다 갖추어졌다는 뜻이며, 법당에 모신 탱화는 만다라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절의 주요 건물로는 법당, 불탑, 요사를 들 수 있다.
법당(法堂)
금당이라고도 하는데, 절에서 모시고 있는 부처님과 보살님을 모시고 있다.
대웅전(大雄殿)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신 법당을 대웅전 또는 대웅보전(大雄寶殿)이라 한다. 대웅이란 석가모니부처님의 다른 호칭이며 큰 장부라는 뜻과 같다.
비로전(毘盧殿)
법신불(法身佛)인 비로자나불을 모신 법당이며, 부처님의 높은 불성을 빛으로 표현하여 대광명전(大光明殿), 대적광전(大寂光殿)이라고도 한다.
극락전(極樂殿)
서방정토의 주불이신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며, 극락보전(極樂寶殿), 미타전(彌陀殿), 또는 무량수전(無量壽殿), 무량광전(無量光殿)이라고도 한다.
미륵전(彌勒殿)
미래에 오실 부처님이신 미륵불을 봉안한 법당인데, 미륵불이 계시는 세계를 용화세계라 하기 때문에 미륵전을 용화전(龍華殿)이라고도 한다.
약사전(藥師殿)
중생의 재난과 질병을 없애고 고난에서 중생을 구해 주시는 약사여래(藥師如來) 부처님을 모신 법당이며 만월전(滿月殿)이라고도 한다.
관음전(觀音殿)
자비의 상징인 관세음보살을 모신 법당으로서 원통전(圓通殿), 원통보전(圓通寶殿) 또는 자비전(慈悲殿)이라고도 한다.
지장전(地藏殿)
지장보살을 모신 법당으로 명부전(冥府殿)이라고도 하며, 지장보살을 중앙에 모시고 좌측에는 도명존자, 우측에는 무독귀왕을 보처로 모시기도 합니다. 그리고 시왕(十王)을 좌, 우에 모시기도 하여 시왕전(時王殿) 또는 대원전(大願殿)이라고도 한다. 시왕은 지옥에서 죄의 경중을 정하는 10위의 왕으로서 진관왕, 초강왕, 송제왕, 오관왕, 염라왕, 변성왕, 태산왕, 평등왕, 도시왕, 오도전륜왕을 말한다.
팔상전(八相殿)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부분(八相)으로 나누어 여덟 폭의 그림으로 모시고 중앙에 석가모니불을 모신 법당이다.
이 외에 비로자나불과 화엄경의 여러장면을 그림으로 그려 모신 화엄전, 부처님과 그 제자들을 모신 응진전(또는 나한전), 문수보살을 모신 문수전, 역대조사들의 초상화를 모신 조사당, 민간신앙을 불교에 흡수한 산신이나 칠성을 모신 산신각, 칠성각이 있고 또 산신, 칠성, 독성을 함께 모신 삼성각(三聖閣)을 큰 법당의 뒤편에 건립하기도 한다. 이러한 민간신앙의 흡수는 신앙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예경의 차원이다.
탑(塔)
법당 앞에는 보통 석탑이 있다. 법당 앞에 탑을 하나만 모셨을 때 일탑식(一塔式), 탑을 둘 모셨을 때 쌍탑식(雙塔式)이라고 하며 지형에 따라 선택하여 모셔진다. 탑은 단순히 돌을 쌓은 구축물이 아니고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곳이다. 사리 대신 불상 또는 불경을 모시기도 하지만 어쨌던 불자의 귀의처이기 때문에 불자는 탑에 예경을 올려야 한다.
돌로 쌓은 탑을 석탑, 나무로 조성할 경우는 목탑, 벽돌로 조성하였을 경우 전탑이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석탑이 많고, 중국은 전탑, 일본은 목탑이 많다.
요사(療舍)
스님들이 생활하는 건물을 통칭하여 요사라 한다. 스님들이 수도하는 곳, 일하는 곳, 공부하며 기거하는 곳을 모두 요사라 하며 또한 사무실, 후원(後院), 객실, 창고 등도 모두 요사에 해당된다. 스님들이 수도하시는 요사의 명칭은 여러가지를 사용하여 현판을 붙이는데, 올바른 행과 참선을 하는 장소라는 의미로 해행당(解行堂), 수선당(手禪堂)이라고도 하며, 또 지혜의 칼을 찾는 공부를 하는 곳이라는 의미로 심검당(尋劍堂), 부처님을 선출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선불장(選佛場)이라고도 한다.
문루의 부속 구축물
절의 건물 배치가 전부 일정하지는 않지만 본사의 경우 일주문, 천왕문, 불이문을 지나 일직선으로 법당을 만나게 된다. 또 찰간(刹竿) 또는 당간(幢竿)이라고 하는, 절 입구에 돌이나 쇠로 만들어 세운 기둥을 볼 수 있다. 예전에는 그 위에 깃대를 세워 그 절의 종지와 사격(寺格)을 표시하기도 하고 행사를 알리는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일주문(一柱門)
절 입구에 있는 첫번째 정문이며, 경내와 경외즉 속세에서 극락세계로 들어가는 문이기에 일주문에 도착하면 먼저 합장을 한다. 일주문에는 위치한 산의 명칭과 절의 이름을 ‘00산 00사’라고 명기한 현판이 걸려있다. 또 양쪽에 기둥을 하나씩만 세워서 만든 문이기 때문에 일주문이라고 한다고 하지만, 절에 따라서는 양쪽에 기둥을 하나 이상 세운 것도 있으므로 기둥을 일렬로 세워서 만든 문이라 해서 일주문이라 한다는게 더 합당할 것이다. 이 일주문을 통과 할 때에는 속세의 때를 벗어놓고 들어간다는 자세로 들어서야 할 것이다.
천왕문(天王門)
양쪽에 네분의 천왕을 모신 문이다. 이 사천왕은 불법을 수호하고 사마(邪魔)를 방어하며 착한 사람들을 돕는 임무를 지닌 호법 천왕으로서, 동방의 지국천왕(持國天王), 남방의 증장천왕(增長天王), 서방의 광목천왕(廣目天王), 북방의 다문천왕(多聞天王)을 말합니다. 이역시 산신들 처럼 예경을 표하지만 신앙의 표상은 아니다.
해탈문(解脫門)과 불이문(不二門)
일주문과 천왕문을 지나고 이 문을 통하여 법당에 이르면서 해탈의 경지에 이르고 부처님의 불이(不二) 즉 중생이 깨달으면 부처가 되므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라는 의 경지에 이르러 불법의 깊은 진리 깨닫는다는 의미를 가진 문이다.
출처 : 부다TV 알기쉬운 불교이야기 2회
-출처 BUDDHA TV-
'불교상식 > 불교상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에 가는 자세 (2) (0) | 2014.05.21 |
---|---|
절에 가는 자세 (1) (0) | 2014.05.21 |
포살(布薩) - 계율 조목암송하며 참회 (0) | 2014.05.21 |
불(佛) - 진리를 깨달은 사람 (0) | 2014.05.21 |
신행의 첫걸음 삼귀의 (0) | 201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