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사찰[ 三寶寺刹 ]
삼보는 불교에서 귀하게 여기는 세 가지 보물이라는 뜻으로, 불보(佛寶)·법보(法寶)·승보(僧寶)를 가리킨다.
불보는 중생들을 가르치고 인도하는 석가모니를 말하고, 법보는 부처가 스스로 깨달은 진리를 중생을 위해
설명한 교법, 승보는 부처의 교법을 배우고 수행하는 제자 집단, 즉 사부대중(四部大衆)으로, 중생에게는
진리의 길을 함께 가는 벗이다.
삼귀의(三歸依)가 모든 사부대중에게 삶의 지침이 되는 것처럼, 이 세 가지는 불교에서 가장 근본이 되는
믿음의 대상이다. 한국에서는 통도사(通度寺) · 해인사(海印寺) · 송광사(松廣寺)가 삼보사찰에 속하며,
이들 세 사찰을 일컬어 3대사찰이라고 부른다.
오대적멸보궁(寂滅寶宮)의 하나인 양산 통도사는 부처의 법신(法身)을 상징하는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어
불보사찰이라고 한다. 7세기 중엽 신라의 고승 자장(慈藏:590∼658)이 당나라에서 문수보살의 계시를 받고
불사리와 부처의 가사 한 벌을 가져와, 사리는 3분하여 황룡사와 울산 태화사(泰和寺)에 두고 나머지는
통도사를 창건하여 금강계단(金剛戒壇:국보 290)에 가사와 함께 안치하였다.
이로써 통도사는 불보 종찰(宗刹)이 되었다. 본당인 대웅전에는 따로 불상이 없고 불단만 있는데,
법당 안에서 정면을 향하면 바로 사리를 모신 보궁이 보이게 되어 있다.
합천 해인사는 부처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국보 32)을 모신 곳이라고 해서
법보사찰이라고 한다.
고려대장경을 모신 해인사장경판전(海印寺藏經板殿:국보 52)은 사찰의 가장 중요한 전각이다.
출처-네이버 백과사전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_()_
거룩한 부처님 법에 귀의 합니다_()_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_()_
실상묘법연화경
실상묘법연화경
나무평등대혜실상묘법연화경_()_()_()_
'불교상식 > 불교상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보사찰[ 三寶寺刹 ] (0) | 2015.11.13 |
---|---|
[스크랩] 알아두면 좋은 불자상식 (0) | 2015.01.28 |
불교란 (0) | 2014.07.23 |
삼보사찰이란 (0) | 2014.05.21 |
보현보살님? (0) | 201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