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3관음(三十三觀音):33의 관세음보살님♤ 1) 수월(水月)觀音 : 하늘에 뜬 달이 물속에 비친 달이라는 뜻, 인생의 허무에서 고난구제 2) 지경(持經)觀音 : 오른 손에 경을 들고 바위 위에 앉아 있다. 3) 양류(楊柳)觀音): 버드나무 가지와 淨水를 손에 들고, 병을 없애는 주문을 가르쳤다. 4) 어람(魚籃)觀音 : 손에 물고기가 가득찬 魚籃을 들거나 혹은 큰 고기를 타고 있다. 5) 백의(白衣)觀音 : 백의를 입었다는 그 모습, 언제나 청정을 의미하는 흰 연꽃 위 6) 시약(施藥)觀音 : 보살로 몸과 마음의 병을 제거,왼손을 무릎에 얹고 오른손을 뺨에 대고 연꽃을 보는 형 7) 청경(靑頸)觀音 : 三面四臂 또는 一面二臂로 왼손에 연꽃을 들고 오른손은 가슴 앞으로, 靑頭觀音 8) 연명(延命)觀音 : 독약으로 몸을 해치려는 위기 상황으로부터 면하게 함, 바위 위에 팔꿈치를 붙이고 있다. 9) 유희(遊戱)觀音 : 보살의 유희좌, 금강산에 나타난 관음의 모습. 10) 다라(多羅)觀音: 힌두교의 性力숭배의 영향으로 생겨남, 보살의 눈의 빛에 의해 여인의 모습을 한多羅尊 11) 용두(龍頭)觀音 :구름 속에 있는 용의 등에 앉아 있는 모습 12) 합리(蛤利)觀音 :당나라의 문종이 대합을 먹으려 할 즈음 대합이 돌연 대사의 모습으로 변해 버렸다 13) 보비(普悲)觀音 :자비를 널리 펼친다는 의미, 양 손을 법의에 감추고 산 위에 서 있다. 14) 마랑부(馬朗婦)觀音:법화경을 암송하는 남자(馬氏)와 결혼즉시 황금으로 변함 15) 원광(圓光)觀音 :빛 속에 합장한 채 바위 위에 앉아 있다 16) 연와(蓮臥)觀音 :연못 속의 연꽃 위에 앉아서 합장한 모습 17) 낭견(瀧見)觀音 :보문품게송에"관음을 염하면 불도가니가 번하여 연못이 된다", 벼랑에 앉아 용을 보는 형 18) 덕왕(德王)觀音 :33신 중 법왕신 19) 일엽(一葉)觀音 :큰 물을 만나 표류하더라도 관음을 염하면 낮은 곳을 얻으리라" 해당하는 모습 20) 위덕(威德)觀音 :악한 무리를 절복시키려는 위엄과 약한 자를 애호하는 덕을 갖추고 있다. 21) 중보(衆寶)觀音 :보물을 찾다가 나찰귀국에 가 닿더라도 나찰의 난으로부터 벗어나게 함 22) 암호(巖戶)觀音 :도마뱀, 뱀, 살모사, 전갈의 독에서 벗어난다것. 독충들이 머무르는 암호에 앉아 있다 23) 능정(能靜)觀音 :靜寂한 모습으로, 해변의 바위에 앉아 손을 바위에 대고 있다. 海路의 수호신. 24) 아뇩(阿뇩)觀音 :바위 위에 앉아서 용을 본다, 고대 인도의 호수에서 유래. 25) 아마제(阿摩提)觀音:무외관음, 寬廣관음으로도 불리며, 지옥에 들어간 중생들을 구원하는 보살 26) 엽의(葉衣)觀音:천녀형, 二臂 혹은 四臂像, 화재 예방, 무병장수를 기리는 밀교 의식법의 주존 27) 유리(瑜璃)觀音:香王觀音, 향왕보살, 이 보살의 설법의 향기가 온누리에 두루 펼쳤기 때문이다. 28) 육시(六時)觀音:하루(6시)를 의미, 주야로 중생을 수호, 범협(경전)을 지녀서 범협관음, 29) 합장(合掌)觀音:합장한 채 연꽃 위에 앉아 있다. 30) 일여(一如)觀音:구름을 타고 번개를 정복하고 있는 모습, 雲雷도 사라짐,번개도 관음의 묘지력 31) 불이(不二)觀音:물 위의 연꽃에 서 있다, 집금강신과 부처님이 둘이 아님 32) 지련(持蓮)觀音:연꽃 위에 서 있으며, 관음의 심볼인 연꽃의 줄기를 들고 있다. 33) 쇄수(灑水)觀音:감로의 법비를 뿌려 번뇌의 불길을 끈다"데서 유래, 우수에 지팡이, 좌수에 쇄수기.
메모 :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 합니다_()_
거룩한 부처님 법에 귀의 합니다_()_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 합니다_()_
'妙法蓮華經(法華經) 염불 독경 > 부처님의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관음경 해설 (0) | 2012.11.08 |
---|---|
[스크랩] 관세음보살의 명호를부르면 (0) | 2012.11.08 |
[스크랩] 대승장엄보왕경(25) (0) | 2012.11.08 |
[스크랩] 대승장엄보왕경(24) (0) | 2012.11.08 |
[스크랩] 대승장엄보왕경(23) (0) | 2012.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