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가는 자세 (3) 절에 가는 자세 (3) <b> 절에 가기 전의 마음(心) 가짐 </b> * 서원을 세운다 사찰은 단순히 관광이나 풍광을 보러 가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 전에 가서 욕심을 버리고 맑은 정신을 얻겠다든지 기도를 해서 무엇을 성취하겠다는 것과 같은 서원을 세우고 간다. 사찰에서 보는 주련 한 ..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절에 가는 자세 (2) 절에 가는 자세 (2) <b> 절에 가기 전의 음식과 말(口)</b> * 음식을 절제한다. 절에 가기 전에 배불리 고기와 오신채를 먹는 것을 삼가 한다. 수행자들에게 음식은 깨달음을 이루기 위한 약으로 생각한다. 특히 술이나 마약 또는 정신을 혼미하게 하는 약품은 삼가고 언제나 맑은 정..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절에 가는 자세 (1) 절에 가는 자세 (1) 절에 가기 전의 몸 가짐(身) * 몸을 깨끗이 단장한다. 사찰에 가기 전에는 몸을 단정하게 하고 가는 것이 도리다. 옛날에 우리 할머니들은 절에 가기 전에 목욕재계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비록 목욕까지는 못한다 할지라도 깨끗이 하고 단정하게 하는 것이 예의다. * 지..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절의 건축물 절의 건축물 전통사찰은 만다라 형상을 나타내며 극락세계를 표현한 장소로서 독특한 건물구조로 되어있다. ‘만다라(曼茶羅)’는 어느것도 부족한 것이 없이 모두 다 갖추어졌다는 뜻이며, 법당에 모신 탱화는 만다라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절의 주요 건물로는 법당, ..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포살(布薩) - 계율 조목암송하며 참회 포살(布薩) - 계율 조목암송하며 참회 자자(自恣)가 스님들이 안거가 끝나는 날, 자신의 잘못을 대중앞에서 고백하고 참회함으로써 용서를 구하는 참회의식이라면, 포살(布薩)은 계율의 조목을 암송하면서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참회하는 의식이다. 자자와 포살이 모두 참회의식이지만, ..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불(佛) - 진리를 깨달은 사람 불(佛) - 진리를 깨달은 사람 부처님을 뜻하는 불(佛)은 불타(佛陀)의 줄인말로 각자(覺者), 즉 진리를 깨달은 사람을 의미한다. 불타(佛陀)는 범어 buddha의 음역으로 불타(佛陀)이외에도 불타(佛馱), 부타(浮陀), 부도(浮屠), 부도(浮圖), 부두(浮頭) 등 다양하게 음역된다. 부처님을 의미하는 ..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신행의 첫걸음 삼귀의 신행의 첫걸음 삼귀의 기초교리강좌 [인간은 선에 다가가야 한다] [참된 귀의] [삼귀의] [진정한 귀의처는 자기 자신] 1. 인간은 선에 다가가야 한다. 불교는 인간의 본성을 맑고 깨끗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인간이 무명에 싸여 있는 것은 왜일까요? 그것은 오탁악세를 살아가..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불교예절 <6> - 공양물을 올리는 바른 예법 불교예절 <6> - 공양물을 올리는 바른 예법 공양물을 올릴 때는 불단 앞까지는 공양물이나 공양 그릇(供養器)을 오른쪽 어깨 위로 받쳐들고 갑니다. 부처님께 올릴 공양물에 콧김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불단 앞 가까이 가서는 두 손으로 공양물이나 공양 그릇의 아래..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불교예절 <5> - 다른 사람의 수행을 방해하지 말아야... 불교예절 <5> - 다른 사람의 수행을 방해하지 말아야... 공양물을 올리는데도 예의에 맞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미 법회를 진행하고 있을 때는 앞으로 나가서 공양물을 올리지 않습니다. 스님이나 불자들의 수행을 방해하는 일이 되기 때문입니다. 자기 자리를 찾아서 선 채로 합장하여..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불교예절 <4> - 불전에 들어갈 때 불교예절 <4> - 불전에 들어갈 때 불전에 들어가기 위해 계단을 올라서면 부처님을 향해 반 배로 한번 절을 한 후에 가운데 문이 아닌 오른쪽이나 왼쪽의 옆문으로 들어갑니다. 가운데 문은 어간문(御間門)이라고 하는데, 스님들께서 출입하시는 문입니다. 불전의 어간문 앞이나 불전 ..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