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삼부경 해설-시작하며>
믿고 이해하는 마음이 원통(圓通)해야
[불교교단 실상연화종 현광사 석동광스님 법화경(法華經) 해설]
불자라고 하면
반드시
믿고 이해하는 마음이 원통(圓通)(하나로 통일되어야) 해야만
참된 불자라고 할 수 있다(열반경에서).
우리나라의 불자들은
대다수가 불교를 이해하려고도 알려고도 하지 않고
다만
불보살의 명호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다만 탐욕의 마음만으로 복을 구하고자 하는 기복적인 면에만 집착하고 있기 때문에
불교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자기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전적으로 불자들에게만 그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다.
설법하는 사람들의 잘못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경문에 의하지 않고 삿된 견해로서 설법을 하기 때문이다.
불자들은
삿된 견해를 듣고 그 말이 진실한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잘못 이해하는데서
오는 믿음이기 때문이다.
참되고 진실한 불자가 되고자 한다면
반드시
부처님의 가르침인 경문을 근본으로 삼고 수행하는 것이 진정한 불자가 되는 길이다.
모든 사람들은
석가모니부처님을 인본존(사람이 부처님이 되신)인 한쪽 면 만을 보기 때문에
사견이 많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너도 나도
잘못된 수행방법이 곧 부처님이 되는 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석가모니부처님은
중생을 위해서 수없는 방편으로 법을 설하신 것은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다.
또
부처님의 수명 또한 영원하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구원실성의 석가모니부처님에 대해서는 전혀 이해하려고도 믿으려고도 하지 않는다.
인본존이신 석가여래와
구원실성의 석가여래는 서로 다른 것 같지만 한 분이신 것이다.
중생을 위하여
사람으로 나타나셔서 법을 열어서 보이시고,
깨달음을 얻는 것을 알게 하시고,
깨달아서 일불승에 들게 하고자 하시는 것이다.
이것이
개시오입(開示悟入)케 하시는 것으로 사불지견이라고 하는 것이다.
항간에는
아함경이 법화경이요,
법화경이 곧 아함경이라고 하는 실로 대 망어를 서슴치 않고
많은 사람들이 보는 인터넷을 통해서 함부로 방법(謗法)의 말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실로 가관이다.
이런 사람을 두고
알지도 못하면서 아는 척하는 그야말로 이양에만 탐착해서
사견을 설해서 중생을 큰 지옥으로 끌고 가는 것이라고
부처님께서는 곳곳의 경문에서 밝히신 것이다.
이 회보 지면을 통해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니 불교에 대한 바른 이해와 믿음이 무엇인가를
또
사견인지 정견인지를 분별하기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앞으로,
부처님을 믿는 불자들이
부처님께서 설하신 경문의 뜻을 바르게 이해하여
방법의 죄를 짓지 않고,
바른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법화삼부경(무량의경, 묘법연화경,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의
경문의 뜻을 해설하고자 한다.
먼저
법화삼부경 중에서 묘법연화경의 개경인 무량의경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무량의경은
한마디로
묘법연화경이 부처님께서 50년간의 설법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경임을 밝히시고,
사십 이년 동안 설하신 경은 모두가 다 진실이 아니라 방편임을 밝히신 경이다.
그 증문은
법화경을 설하시기 직전에 무량의경을 설하셨다는 말씀과
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관보현경)에
석 달 후에 열반에 들 것이라는 말씀이 법화경에 있으며,
이 두 경은 서로 별개의 경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세 가지 경을 법화삼부경이라고 한다.
그중에 무량의경을 법화경의 개경이라고 하고 관보현경은 결경이라 한다.(계속)
실상 묘법연화경 실상 묘법연화경 나무 평등대혜 실상묘법연화경 _()()()_
實相 妙法蓮華經 實相 妙法蓮華經 南無 平等大慧 實相妙法蓮華經 _()()()_
'석동광큰스님(실상연화종 현광사) > 석동광스님 묘법연화경 법문(현광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화삼부경 강설-무량의경 설법품 제이 [불교교단 실상연화종 현광사 묘일 석동광스님 법화경(法華經) 해설] (0) | 2020.02.03 |
---|---|
무량의경(無量義經) 덕행품 제일 [불교교단 실상연화종 현광사 석동광스님 법화경(法華經) 해설] (0) | 2020.01.30 |
묘법연화경 보현보살권발품 제28 [불교교단 실상연화종 현광사 석동광스님 법화경(法華經) 해설] (0) | 2019.08.20 |
묘법연화경 묘장엄왕본사품 제27 [불교교단 실상연화종 현광사 석동광스님 법화경(法華經) 해설] (0) | 2019.08.20 |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 보문품 제25 [불교교단 실상연화종 현광사 석동광스님 법화경(法華經) 해설] (0) | 2019.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