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모니 부처님의 십대제자 석가모니 부처님의 십대제자 첫 번째는 사리풋타로, 우리들의 사리불(舍利弗)또는 사리자(舍利子)라고 하는 분입니다. 지혜가 특히 뛰어났던 분이라 지혜제일이라고 합니다. 두 번째는 마하갈라나로, 목건련(目楗連) 또는 목련(目連)이라 알려진 분입니다. 신통력이 뛰어났으므로 신통제..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불교구단의 구성 불교구단의 구성 사부대중(四部大衆)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칠부대중이란 비구(比丘).비구니(比丘尼).우바새(優婆塞) 사미(沙彌).사미니(沙彌尼).식차마나(式叉摩那)의 일곱 분류를 일컫고,사부대중은 그중에서 미성년자를 뺀 비구. 비구니 우바새.우바이만을 지칭하지만 보통..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육바라밀 육바라밀 불자들이 실천해야 할 덕목은 육바라밀(六波羅蜜)을 이야기합니다. 여섯가지 완전한 수행을 뜻하는 것으로서,그 여섯 거지란 보시(보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般若)입니다. 보시바라밀이란 남을 위해 아낌없이 베푸는 것을 말합니다. 불교에서 예로..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사무량심 사무량심 자리이타(自利利他)에 의해 완성된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웃에게는 특히 자(自).비(悲). 희(喜).사(捨)의 사무량심(四無量心)으로 대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첫번째의 자무량심이란 자애로운 마음을 이야기합니다. 모든 이들에게 끝없이 어질고 따뜻한 마음으로 대해..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삼학(三學) 삼학(三學) 아무런 걸림이 없는 열반의 경지에 이르기 위한 방법이 불교의 수행입니다.그와 같은 수행방법들은 계(戒). 정(定). 혜(慧)의 삼학(三學)즉, 계율과 선정과 지혜의 세 가지 수련을 그 기본원리로 하고 있습니다. 계율이란 일생생활 속에 지켜야 하는 자발적인 도덕규범들로 재가..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팔정도(八正道) 팔정도(八正道) 팔정도(八正道)라 하여 다음과 같은 여덟 가지 수행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첫 번째는 정견(正見)입니다. 올바른 견해를 뜻하는 것으로서, 인생의 현실이나 사물의 이치에 대해 아무런 걸림이 없이 올바르게 바라보는 것이 불교수행의 첫 번째 덕목인 것입니다. 두 번째..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사성제(四聖諦) 사성제(四聖諦) 인간 삶의 유한한 현실을 직시하며 그와 불완전한 상황에서 벗어나 보다 옳은 삶, 보다 가치있는 인생을 성취하기 위한 가르침인 불교는 그 실천원리를 사성제(四聖諦)라고 해서 다음과 같은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성제란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삼법인(三法印) 삼법인(三法印) 불교에서 예로부터 그와 같은 부처님 가르침의 가장 큰 특징을 삼법인(三法印)이라 하여 다음의 세가지로 요약해왔습니다. 즉 그 첫 번째는 제행무상(諸行無常)으로서, 이 세상 모든 현상은 덧없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뜻으로서, ..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도량 예절 (2) 도량 예절 (2) <b>도량 예절</b> * 도량 내에서는 뛰어 다니지 않으며 손은 차수(두 손을 모아서 아랫배에 붙이는 자세)를 하고 다닌다. * 술 취한 상태에서는 도량 안으로 들어가서는 안되며, 도량 내에서 술이나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 또 도량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
도량 예절 (1) 도량 예절 (1) <b>사찰 입구 예절</b> * 절 입구에서는 차에서 내린다. 자동차를 타고 사찰을 찾았더라도 사찰 입구에서는 차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것이 예의다. 흔히 신도라는 분들이 오히려 고급 승용차를 타고 사찰 마당 안까지 들어가는 모습을 종종 본다. 그러나 이것은 대단한.. 불교상식/불교상식(공부) 2014.05.21